안녕하세요, 여러분! 오늘은 "청년도약계좌 금리 가입조건"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 최근에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금리 가입조건을 알려드릴게요.
청년도약계좌 금리 가입조건
청년도약계좌 출시 정보
- 청년도약계좌는 6월 15일에 출시 예정입니다.
- 매달 70만 원 한도로 5년간 납부하면 최대 6.5% 이율 비과세가 적용됩니다.
은행별 금리 정보
- 은행별 금리는 기본금리(3.5% ~ 4.5%) + 소득 우대금리(0 ~ 0.5%) + 은행별 우대금리(1.5% ~ 2%)로 구성됩니다.
- 위 조건으로 최대 6.5% 금리가 적용 가능합니다.
- 최종 확정 금리는 6월 12일에 공시됩니다.
- 은행연합회 예금상품금리비교 링크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개요
- 6월 15일에 출시되며, 매달 70만 원 한도로 5년간 납입합니다.
- 연 소득 7,500만 원 이하의 청년이 가입 가능합니다.
- 군대 다녀온 기간(최대 6년)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됩니다. 예를 들어, 2년 군대 다녀왔다면 만 36세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.
- 2023년 기준 가구소득 중위 180%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1인 가구: 3,740,206원
- 2인 가구: 6,221,079원
- 3인 가구: 7,982,669원
- 4인 가구: 9,721,735원
청년도약계좌 혜택
- 개인 소득에 따라 매월 40만 원부터 70만 원까지 납부하면 정부 기여금이 지원됩니다(2만 1천 원 ~ 2만 4천 원).
- 이자소득은 비과세로 적용됩니다(15.4%).
- 개인소득이 6천만 원 이상인 경우 정부 기여금은 지원되지 않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금리구조
- 청년도약계좌는 3년 동안 고정금리를 적용한 후, 나머지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.
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
- 6월 15일부터 11개 은행의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.
- 은행 앱(NH뱅킹 등)을 통해 가입 신청을 합니다.
- 은행 앱을 통해 개인 및 가구소득을 비대면으로 심사합니다.
- 가입 후 1년마다 개인소득을 확인하여 기여금 지급 여부와 규모를 조정합니다.
- 가구원 변동 시 가구소득은 심사하지 않고 개인소득만을 현행화합니다.
- 특별한 중도해지 사유가 발생할 경우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. 사유로는 가입자 사망, 해외이주, 가입자 퇴직, 사업장 폐업, 천재지변, 장기치료 질병, 생애 최초 주택구입이 포함됩니다.
결론
2023년 6월 12일에 최종 금리가 확정되며, 이후 6월 15일부터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높은 금리와 비과세 혜택으로 목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
1인 가구 | 3,740,206원 |
2인 가구 | 6,221,079원 |
3인 가구 | 7,982,669원 |
4인 가구 | 9,721,735원 |
차이점과 결론
청년희망 계좌와 청년도약 계좌는 정부의 다른 정책 시기에 도입된 제도입니다. 이 두 가지 계좌를 중복으로 가입할 수 없으며, 각 계좌는 다양한 조건과 혜택을 제공합니다. 이번 청년도약계좌의 출시로 목돈을 저축하고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